티스토리 뷰
목차
노인장기요양 등급 신청을 준비 중이신가요? 등급이 높을수록 더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노인장기요양 등급 신청 방법, 등급별 혜택, 예상 점수 알아보기 등 유용한 정보를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등급 신청 시 주의사항과 등급을 잘 받는 방법도 같이 소개해 드릴 테니 꼼꼼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노인장기요양 등급 판정 기준
노인장기요양 등급 신청 자격은 만 65세 이상이거나, 만 65세 미만이라도 치매, 뇌혈관성 질환, 파킨슨 병 등의 노인성 질병이 있어야 합니다.
또한, 6개월 이상 혼자서 일상생활을 하기 어렵다고 판정받은 경우 장기요양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노인장기요양 등급 판정 기준은 1등급부터 5등급, 그리고 인지지원등급까지 총 6단계 등급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1등급 : 95점 이상, 전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경우
2등급 : 75 ~ 95점, 상당 부분 도움이 필요한 경우
3등급 : 60 ~ 75점, 부분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경우
4등급 : 51 ~ 60점, 일정 부분 도움이 필요한 경우
5등급 : 45 ~ 51점, 치매환자
인지지원등급 : 45점 미만, 치매환자
노인장기요양 등급 신청
노인장기요양 등급 신청은 온라인 신청과, 방문 신청이 가능합니다.
신청을 위해서는 장기요양등급 신청서에 인적 사항등을 기재하고, 의사 소견서와 함께 제출하면 됩니다.
온라인 신청
온라인 신청의 경우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나 모바일 앱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공인인증서 로그인)
📢 아래에서 전국 609개 요양시설의 시설사진, 요양 프로그램, 본인 부담금 등을 등급별로 비교하시기 바랍니다.
방문신청
방문 신청은 가까운 공단을 방문하여 작성한 서류를 제출하면 되는데요. 방문이 어려울 경우 우편이나 팩스로도 제출이 가능합니다.
📢 서류 작성과 소견서가 준비되었다면 모바일 팩스로 쉽게 제출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팩스 보내는법 받는법 어플 (총정리)
모바일 팩스 보내는법, 모바일 팩스 받는법 중 가장 간편한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아직도 팩스 전송 때문에 주민센터, 문구점, 관리소를 찾아가서 일을 처리하시나요?갑작스럽게 팩스를 보내
info.yemeung.com
공단 방문조사(필독)
서류 접수후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사전 약속을 잡고 신청자의 집으로 방문하여 "장기요양인정조사표"를 작성합니다.
- 신체기능 영역 (옷 벗고 입기, 세수하기, 양치질하기, 목욕하기, 식사하기 등 총 13개 항목)
- 사회생활 기능 영역 (집안일 하기, 식사 준비하기, 빨래하기, 금전 관리, 물건 사기, 전화 사용하기 등 총 10개 항목)
- 인지기능 영역 (지시 이해, 의사소통 전달, 계산 등 총 10개 항목)
- 행동변화 영역 (헛것을 보거나 환청, 물건 망가뜨리기, 이유 없이 소리치기 등 총 22개 항목)
- 그 외에도, 간호처치 영역, 재활 영역을 조사하게 됩니다.
이 조사는 직원이 직접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조사하기 때문에 등급 판정에 매우 중요한 기준이 되는데요.
아래 노인 장기요양등급 테스트를 통해 대략적인 점수를 확인해 볼 수 있으니 신청 전에 반드시 노인 장기요양등급 테스트를 하시기 바랍니다.
요양등급 잘 받는 방법
노인장기요양 등급을 신청하다 보면 예상보다 점수가 낮게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이유는 수급자의 조사 당일 컨디션에 따라 등급 차이가 많이 나기 때문인데요. 이런 경우, 요양등급을 조금이라도 더 잘 받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려 드리겠습니다.
1. 수급자의 컨디션이 안 좋을때 동영상이나 사진을 촬영합니다.
이 사진을 증거로 조사원에게 상황을 설명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대소변을 실수했을 경우나 물건을 던져 깨진 상황 등을 수급자의 상황을 조사원이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2. 가족들의 증언 (메모)
"조사 날에는 컨디션이 너무 좋아요" 라고 말하시는 가족분들이 많습니다. 수급자의 컨디션에 따라 희비가 엇갈리는 만큼, 가족들이 평상시에 있었던 일들을 자세하게 설명해 주어야 합니다.
이럴 경우, 수급자의 행동을 수첩이나 휴대폰에 적어 놓고 조사관에게 이야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증빙서류 준비하기
치매증상으로 인해 아파트 관리소나 경찰서에 신고한 경우, 수급자를 다른 사람에 의해 찾았을 경우 등 관련된 영상을 촬영하거나 증빙서류를 준비하면 큰 도움이 됩니다.
4. 가족의 어려움 토로
방문 조사할 때 신청자가 겪는 어려움과 힘듬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려줘야 합니다.
📢 아래에서 예상 요양비용 (요양병원, 요양원)을 계산해 보시기 바랍니다.
등급별 혜택 (월 예상비용 알아보기)
2024년 기준 1등급 월 2,069,900원, 2등급 1,869,600원, 3등급 1,455,800원, 4등급 1,341,800원, 5등급 1,151,600원 마지막으로 인지지원등급 643,700원을 지급받게 됩니다.
📢 아래 요양종합지수 테스트를 통해 월 예상되는 요양비용을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노인 장기요양등급 신청방법과 등급별 혜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노인 장기요양등급 신청 전에 수급자의 예상 점수를 알아보면 노인 장기요양등급을 받을 때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또한 공단에서 방문하여 조사할 때 미리 조사표를 확인하고 그에 맞게 대응하면 더 높은 등급을 받을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